**“목적어란 무엇인가?”**를 단순 암기가 아니라, 진짜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동사의 의미 + 대상성 + 문장 속 구조 원리에 따라 설명드릴게요.
그리고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을/를’, ‘누구를’ 식 표현을 중심으로 예시도 풍부하게 드리겠습니다.
✅ 목적어(Object)란?
🔍 정의
목적어란, 동작이나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을 하다”, “~를 보다”, “누구를 만나다” 등에서 ‘~을/를’ 자리에 오는 말이 바로 목적어입니다.
🧠 원리 기반 설명
1. 전체 동사는 행동 또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 read(읽다), eat(먹다), love(사랑하다), find(찾다)
2. 어떤 동사는 혼자 의미가 완성되지 않아요.
예)
- “I eat.” → 무엇을 먹는지 말해줘야 의미가 완전함
- “She loves.” → 누구를 사랑하는지 빠졌음
3. 이때 동작의 ‘대상’을 붙여주면 문장이 완성됩니다.
👉 이 **‘대상’**이 바로 목적어입니다. 이때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타동사라고 칭합니다.
✅ 목적어의 특징 요약
목적어 특징 | 세부 설명 |
---|---|
대상이 있다. | 하다 ( 무엇을) –> do what? |
문법적 위치 | 동사 바로 뒤 |
형태가 무조건 명사이다. |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 등 (무조건 명사적임) |
목적어는 필수 성분이다. 타동사를 쓰면 목적어도 나옴 | 타동사는 반드시 목적어 필요, 자동사는 필요 없음 (자동사는 1, 2 형식에 쓰이는 동사임) |
📌 목적어 쉽게 판단하는 질문 3가지 (이것만 알면 됩니다.)
- 무엇을? 누구를? → 목적어가 필요함 (타동사)
- 행동의 결과가 향하는 대상이 있는가?
- “을/를”로 자연스럽게 해석되는가?
- 왠만하면 목적어를 10 개만 한국어로 써보고 외우시길 추천드립니다. (예: 먹다, 그리다. 던지다. 즐기다. 만나다. 등등) (자동사 가다, 오다, ~한 냄새가 난다, ~ 처럼 보이다.)
- 보어는 주어랑 같거나 비슷하고, 목적어는 주어랑 목적어랑 반드시 틀립니다. (그는 찐빵같이 생겼다- 찐빵은 보어, 그는 찐빵을 먹는다. 찐빵은 목적어)
✅ 예시로 이해하기
✔️ 목적어가 있는 문장 (3형식)
문장 | 해석 | 설명 |
---|---|---|
I read a book. | 나는 책을 읽는다. | ‘read’의 대상은 ‘a book’ → 목적어 |
He loves her. | 그는 그녀를 사랑한다. | ‘her’는 ‘loves’의 대상 |
We watch TV. | 우리는 TV를 본다. | ‘TV’는 ‘watch’의 대상 |
→ 모두 “~을/를” 구조이며, 타동사 + 목적어 구조
❌ 목적어가 없는 문장 (자동사)
문장 | 해석 | 설명 |
---|---|---|
She sleeps. | 그녀는 잔다. | ‘sleep’은 대상이 필요 없는 자동사 |
They arrive. | 그들은 도착한다. | ‘arrive’는 누구를 도착하는 게 아님 |
I run every morning. | 나는 매일 아침 뛴다. | ‘run’ 자체로 의미 완성됨 |
→ 대상이 필요 없으므로 목적어 없음
🔄 헷갈리는 경우 비교 예시
문장 | 자동사/타동사 | 이유 |
---|---|---|
I eat. | ❌ 불완전 (타동사) | ‘무엇을 먹는지’ 대상 필요 → 목적어 누락됨 |
I eat lunch. | ✅ 완전 | 목적어 ‘lunch’ 포함됨 |
He goes. | ✅ 완전 (자동사) | ‘go’는 대상 필요 없음 |
He finds. | ❌ 불완전 (타동사) | ‘무엇을 찾는지’ 빠짐 → 목적어 필요함 |
He finds his phone. | ✅ 완전 | 목적어가 있음 |
✨ 응용: 목적어 자리에는 어떤 말이 올 수 있나요?
유형 | 예문 | 설명 |
---|---|---|
명사 | I play soccer. | soccer = 목적어 |
대명사 | She likes it. | it = 목적어 |
명사구 | He wrote a long letter. | a long letter = 목적어 전체 |
to부정사 | I want to go. | to go = 목적어 역할 |
동명사 | She enjoys reading. | reading = 목적어 역할 |
명사절 | I know that he is honest. | that절 전체가 목적어 |
📝 연습문제
다음 문장에서 동사와 목적어를 구분하세요. (없으면 없음 표시)
- I play the piano.
- He sleeps well.
- We watched a movie.
- They arrived late.
- She found her keys.
- I want to study.
- She enjoys dancing.
- He is honest.
✅ 정답
- play – the piano (O)
- sleeps – 없음 (자동사)
- watched – a movie (O)
- arrived – 없음 (자동사)
- found – her keys (O)
- want – to study (O)
- enjoys – dancing (O)
- is – honest (보어, 목적어 아님 → 2형식)
이제 “목적어는 대상이다”라는 개념이 명확해졌을 거예요.
→ “누구를 만나다”, “무엇을 좋아하다”처럼 **‘누구를/무엇을’**이라는 질문에 답이 되는 게 목적어입니다.
📘 목적어 vs 보어 구분 연습문제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이 목적어(Object)인지 보어(Complement)인지 구분해 보세요.
- She called him.
- He became a teacher.
- They found the wallet.
- I think he is right.
- The sky looks blue.
- We made him the leader.
- The baby seems happy.
- He opened the door.
- I saw him running.
- This book is very helpful.
📘 목적어 vs 보어 구분 연습문제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이 목적어(Object)인지 보어(Complement)인지 구분해 보세요.
번호 | 문장 | 정답 | 해설 |
---|---|---|---|
1 | She called him. | 목적어 | 타동사 call의 대상 |
2 | He became a teacher. | 보어 | linking verb became 뒤 보어 |
3 | They found the wallet. | 목적어 | find는 타동사 |
4 | I think he is right. | 목적어 | think의 대상 = 명사절 |
5 | The sky looks blue. | 보어 | look은 2형식 동사 |
6 | We made him the leader. | 목적어 + 보어 | 5형식: 목적어(him) + 목적보어(the leader) |
7 | The baby seems happy. | 보어 | seem은 2형식 동사 |
8 | He opened the door. | 목적어 | open은 타동사 |
9 | I saw him running. | 목적어 + 보어 | 5형식: see는 지각동사 + 목적보어(분사) |
10 | This book is very helpful. | 보어 | be동사 뒤 보어(형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