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동사와 자동사 구분 영어 문장의 3형식 완전 기초 정리 | 목적어 vs 보어 vs 부사 구분법
영어 문장 형식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의 핵심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3형식 문장은 말 그대로 영어 문장의 뼈대입니다. 이 글에서는 3형식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을 위해 목적어, 보어, 부사어의 차이점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3형식이란?
형식 구조
→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예:
I like pizza.
(나는 피자를 좋아한다.)
→ I(주어) + like(동사) + pizza(목적어)
3형식은 대부분의 타동사가 사용하는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타동사는 목적어 없이는 의미가 완성되지 않기 때문에, 동사 뒤에 항상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 목적어 vs 보어 vs 부사 구분법
항목 | 정의 | 문장에서 위치 | 특징 |
---|---|---|---|
목적어(Object) | 동사의 영향을 받는 대상 | 동사 뒤 | 명사 또는 명사구 |
보어(Complement) | 주어나 목적어를 설명 | be동사나 2형식/5형식 동사 뒤 | 명사/형용사 |
부사어(Adverbial) | 시간, 장소, 방법 등을 설명 | 문장 어디든 가능 | 없어도 문장 성립 가능 |
좋습니다! 아래는 3형식 문장 이해의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목적어와 보어, 부사어의 구분법을 중심으로 설명한 글이며,
이해를 돕기 위한 예문 및 연습 문제도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 영어 문장의 3형식 완전 기초 정리 | 목적어 vs 보어 vs 부사 구분법
영어 문장 형식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의 핵심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3형식 문장은 말 그대로 영어 문장의 뼈대입니다. 이 글에서는 3형식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을 위해 목적어, 보어, 부사어의 차이점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비교 예시
- 3형식 – 목적어를 반드시 가집니다.
She reads a book every night.
→ ‘a book’은 **reads(읽는다)**의 대상 → 목적어 (읽는다 무엇을?) —> 목적어는 “무엇을” 에 해당
- 보어 – 2형식
She is a doctor.
→ ‘a doctor’는 **주어(She)**를 설명 → 보어 (주어는 누구이다. 여기서 누구 가 보어)
- 부사어
She reads a book at night.
→ ‘at night’은 시간 부사어, 없어도 문장 성립됨 (부사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에 대한 대답이다.)
✅ 구분 팁
- 타동사를 썼다 치자? 그러면 뒤에 무조건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게 상식입니다. ex) I bought. ❌ → 무엇을 샀는지 목적어 없으면 불완전 → I bought a car. ✅
-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 : 2 형식 동사를 썻다 치면? 뒤에 반드시 주어와 같거나 주어를 설명하는 보어 (명사 또는 형용사가 나와야 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 문장의 모든 형식에서 부사는 추가될 수 있다. 꾸며주는 요소 ( 부사어는 문장의 ‘꾸밈 요소’ →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됨 → 제거해도 문장의 골격은 유지됨)
📝 연습 문제 (객관식)
문제 1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의 문법적 역할은?
She drinks coffee every morning.
① 주어
② 동사
③ 목적어
④ 보어
⑤ 부사어
문제 2
다음 중 보어가 포함된 문장은?
① He opened the door.
② They watched a movie.
③ She became a teacher.
④ I wrote a letter.
⑤ We play soccer every weekend.
문제 3
다음 문장에서 부사어를 고르시오.
I studied English in the library yesterday.
① I
② studied
③ English
④ in the library
⑤ yesterday
✅ 정답
- ③ 목적어
- ③ She became a teacher. (become + 보어)
- ④ in the library
✨ 마무리 요약
- 3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타동사가 반드시 목적어 필요)
-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설명하며 2형식/5형식에만 등장
- 부사어는 시간·장소·방법 등 문장을 꾸며주는 역할로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됨
🔍 이 참에! 자동사 vs 타동사 개념부터 잡자!
구분 | 정의 | 뒤에 목적어 필요 여부 | 예 |
---|---|---|---|
자동사(1,2 형식동사) | 스스로 동작이 끝나는 동사 | ❌ 필요 없음 | go, sleep, come, arrive 등 |
타동사(3-5형식동사) | 목적어 없이는 뜻이 불완전한 동사 | ✅ 필요함 | like, buy, make, give 등 |
✅ 자동사는 왜 자동사일까? (1형식·2형식 동사)
자동사는 문장에서 목적어 없이도 문장이 완전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1형식: 주어 + 자동사
She sleeps.
(그녀는 잔다.)
→ sleep은 목적어 필요 없이 동작이 완결됨 → 자동사
The baby cried loudly.
(아기가 크게 울었다.)
→ 목적어 없이도 자연스럽다 → 자동사
🔹 2형식: 주어 + 자동사(be동사 계열) + 보어
He is a teacher.
(그는 선생님이다.)
→ be는 주어를 설명하는 보어가 필요하지만, 목적어는 아님 → 자동사
She became angry.
(그녀는 화가 났다.)
→ become은 상태를 설명하는 보어가 따라옴 → 자동사
🟨 2형식 동사의 대표 예시: be, become, seem, remain, grow (상태 변화를 설명함)
✅ 타동사는 왜 타동사일까? (3형식·4형식·5형식 동사)
타동사는 동사의 의미가 목적어 없이는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 3형식: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I like coffee.
(나는 커피를 좋아한다.)
She opened the door.
→ like는 ‘무엇을 좋아하는지’ 없으면 문장이 불완전 → 타동사
(그녀가 문을 열었다.)
→ 무엇을 열었는지 필요함 → 타동사
🔹 4형식: 주어 + 타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He gave me a book.
(그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
→ 누구에게(간접) + 무엇을(직접)
→ give는 두 개의 목적어가 필요한 타동사
🔹 5형식: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They call him a genius.
(그들은 그를 천재라고 부른다.)
→ 목적어(him)와 목적보어(a genius)를 함께 가짐
→ call은 타동사이며 보어가 따라붙는 5형식
🧠 핵심 비교 정리표
형식 | 구조 | 동사 종류 | 예시 문장 | 특징 |
---|---|---|---|---|
1형식 | S + V | 자동사 | He runs. | 완전 자동사 |
2형식 | S + V + C | 자동사 + 보어 | She is kind. | 상태설명 |
3형식 | S + V + O | 타동사 | I eat lunch. | 목적어 필수 |
4형식 | S + V + IO + DO | 타동사 | She gave me a pen. | 목적어 2개 |
5형식 | S + V + O + OC | 타동사 | We call her Jane. | 목적보어 필요 |
✏️ 연습 예문으로 자동사/타동사 구별해보기
- He arrived at 3 p.m. → 자동사
- She made a cake. → 타동사
- The child grew taller. → 자동사
- They named the dog Max. → 타동사 (5형식)
- I received a gift. → 타동사 (3형식)
💡 마무리 요약
- 자동사는 동사 뒤에 목적어가 필요 없음 (1형식, 2형식)
- 타동사는 동사 뒤에 목적어가 필수 (3형식, 4형식, 5형식)
- 문장을 해석할 때, 동사의 종류를 보고 목적어가 필요한지 아닌지 판단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