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사구 정복]Against가 ‘반대하여’가 아니라고? “벽에 기대다”의 비밀![전치사구시리즈-Against(1)]
안녕하세요! 전치사구의 디테일을 더하는 후니쌤입니다. 많은 분들이 ‘against’ 하면 fight against (~에 맞서 싸우다), vote against (~에 반대 투표하다)처럼 ‘반대’나 ‘저항’의 의미를 가장 먼저 떠올리시죠?
바로 “~에 기대어, ~을 받쳐서” 라는 ‘지지’와 ‘기댐’의 의미입니다.
오늘은 전치사 against의 숨겨진 핵심 의미, ‘기대고 지지하기’에 대해 완벽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Against의 핵심 그림: ‘맞대어 지지하는 힘’
‘against’의 이 용법은 어떤 것이 다른 것에 닿아서(touching) 지지(support)를 받는 이미지를 그리면 아주 쉽습니다. 한쪽이 다른 쪽에 압력을 가해 몸을 맡기거나 무언가를 붙여놓는 그림을 상상해보세요.

이 핵심 그림만 기억하면 아래 두 가지 패턴은 정말 쉬워집니다.
Pattern 1. 주어가 직접 기댈 때 (verb + against + noun)
가장 기본 패턴입니다. 주어(사람, 사물)가 직접 어딘가에 기대는 상황이죠.
The man was leaning against his car. 그 남자는 자신의 차에 기대어 있었다.

‘leaning on his car’가 아니라 ‘against’를 쓴 이유는, 차 표면(on)에 있다는 의미보다 차를 지지대 삼아 몸을 맡기고 있는 뉘앙스가 훨씬 강하기 때문입니다.
✅ 이런 동사와 정말 친해요!
- lean: 기대다
- rest: (몸이나 신체 일부를) 기대어 쉬다
- lie: 기댄 채로 눕다
- sleep: 기대어 자다
예문으로 익혀보기:
- She was so tired she could have slept against the wall.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벽에 기대어 잘 수도 있을 정도였다.)
- He rested his head against her shoulder. (그는 그녀의 어깨에 머리를 기댔다.)
Pattern 2. 무언가를 ~에 기대어 놓을 때 (verb + noun + against + noun)
이번엔 주어가 목적어(noun)를 어딘가에 기대어 놓거나 바싹 붙이는 상황입니다.
They held the mirror against the wall. 그들은 거울을 벽에 바싹 붙여(기대어) 잡고 있었다.
거울이 벽의 지지를 받아 서 있는 그림이 그려지시나요? 단순히 벽 ‘위’에(on) 있는 게 아니라, 벽에 ‘맞닿아 지지’되는 상황입니다.
✅ 이런 동사와 정말 친해요!
- hold/keep: ~을 ~에 붙여 잡다/유지하다
- put/place/set/lay: ~을 ~에 기대어 놓다
- press: ~을 ~에 대고 누르다
예문으로 익혀보기:
- He placed the heavy box against the door to keep it open. (그는 문을 열어두기 위해 무거운 상자를 문에 기대어 놓았다.)
- Press your back firmly against the chair. (등을 의자에 단단히 기대세요.)
잠깐! on과 뭐가 다른가요? (핵심)
- on: 주로 **평평한 표면 ‘위’**에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중력의 영향을 받죠. (The book is on the desk.)
- against: 수직적인 면에 ‘기대어’ 있거나 압력을 가해 지지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The ladder is against the wall.)


“벽에 걸린 시계”는 “a clock on the wall” 이지만, “벽에 세워둔 사다리”는 “a ladder against the wall” 인 이유, 이제 확실히 아시겠죠?
오늘의 배움 1분 퀴즈!
빈칸에 on / against 중 더 자연스러운 단어를 넣어보세요.
- I like to lie ___ the sofa to watch TV.
- Don’t lean ___ the glass, it might break!
(정답: 1. on, 2. against)
오늘은 전치사 against의 ‘기대고 지지하는’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반대’라는 뜻만 외우고 있었다면 앞으로 미드나 영화에서 lean against, put against 같은 표현이 들릴 때 훨씬 더 명확하게 이해될 거예요!